너와 함께라면 인생도 여행이다
풀꽃 시인 나태주 등단 50주년 기념 신작 시집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너도 그렇다’ 단 세 구절로 수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풀꽃」의 나태주 시인이 새 시집을 낸다. 시인이 그동안 써온 시들을 엄선하여 독자들에게 건넬 만한 온전한 진심을 추려낸 결과물이다. 더구나 이번 시집은 시인의 50년 시력을 기념하는 시집이라서 더더욱 뜻깊다. 여기에 따뜻한 터치로 자연의 미묘한 색감과 생명력을 표현해오고 있는 중국 출신의 세계적인 일러스트레이터 오아물 루(Oamul Lu)의 작품이 표지 전체를 감싸며 독자들의 시선을 잡아끈다. 서정성 짙은 오아물 루의 그림은 시인의 따사롭고 아늑한 감성적인 시 세계로 독자들을 한껏 끌어당긴다.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시 「대숲 아래서」가 당선되고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니, 2020년은 시인이 등단한 지 햇수로 꼬박 오십 년째다. 그의 오십 년 창작 생활이 저 세 구절로 다 형용하기 힘들 정도로 길고 깊다는 것이 절실히 느껴진다. 이번 시집은 1부 신작 시 100편, 2부 독자들이 사랑하는 애송 시(대표 시) 49편, 3부 나태주 시인이 사랑하는 시 65편으로 구성됐다. 사람들의 가슴에 선명하게 새겨지는 그의 시가 이번에는 반세기의 내공을 함축하여 시와 삶을 모두 훑는 놀라운 감동을 선사한다.
등단 오십 년에 맞춰 발간하는 시집이라서일까. 유달리 더 담백하면서도 더 농밀한 시어들이 가득하다. 나태주 시인 특유의 천진난만하고 순진무구한 목소리가 그대로 배어나는 동시에 웅숭깊은 통찰이 담겨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랑하는 사소한 것들에 대한 끈끈한 애정과 애착이 묻어난다는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보살피고 나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겸손한 긍정과 겸허한 감성이 그의 시 세계 곳곳에 별자리처럼 수놓아져 있다.
1945년 충청남도 서천군 시초면 초현리 111번지 그의 외가에서 출생하여 공주사범학교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오랫동안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2007년 공주 장기 초등학교 교장을 끝으로 43년간의 교직 생활을 마친 뒤, 공주문화원장을 거쳐 현재는 공주풀꽃문학관을 운영하고 있다. 1971년 [서울신문(현, 대한매일)] 신춘문예 시 「대숲 아래서」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 등단 이후 끊임없는 왕성한 창작 활동으로 수천 편에 이르는 시 작품을 발표해왔으며, 쉽고 간결한 시어로 소박하고 따뜻한 자연의 감성을 담아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아왔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로 「풀꽃」이 선정될 만큼 사랑받는 대표적인 국민 시인이다. 흙의문학상, 충남문화상, 현대불교문학상, 박용래문학상, 시와시학상, 향토문학상, 편운문학상, 황조근정훈장, 한국시인협회상, 정지용문학상, 공초문학상, 유심작품상, 김삿갓문학상 등 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1973년에는 첫 시집 『대숲 아래서』 펴냈고, 이후 1981년 산문집 『대숲에 어리는 별빛』, 1988년 선시집 『빈손의 노래』, 1999년 시화집 『사랑하는 마음 내게 있어도』, 2001년 이성선, 송수권과의 3인 시집 『별 아래 잠든 시인』, 2004년 동화집 『외톨이』, 2006년 『나태주 시선집』, 『울지 마라 아내여』, 『지상에서의 며칠』를 비롯하여 『누님의 가을』, 『막동리 소묘』, 『산촌엽서』, 『눈부신 속살』, 『그 길에 네가 먼저 있었다』, 『아직도 너를 사랑해서 슬프다』, 『마음이 살짝 기운다』, 『어리신 어머니』, 『풀꽃과 놀다』, 『혼자서도 꽃인 너에게』, 『좋다고 하니까 나도 좋다』 등 다양한 분야의 많은 문학작품을 출간하였다.
1972년 「새여울시동인회」 동인, 1995년엔 「금강시마을」 회원,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충남문인협회 회장, 2002년부터 2003년까지 공주문인협회 회장, 2001년부터 2002년까지 공주녹색연합 대표 등을 역임하였으며, 공주문화원 원장, 계간 「불교문예」 편집주간, 격월간 시잡지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 공동주간, 지역문학인회 공동좌장, 한국시인협회 심의위원장(부회장)을 지냈다.
주로 집에서 글을 쓰고 초청해 주는 곳이 있으면 찾아가 문학 강연을 하고 있다. 청소년기의 꿈은 첫째가 시인이 되는 것, 둘째가 예쁜 여자와 결혼해서 사는 것, 셋째가 공주에서 사는 것이었는데 오늘에 이르러 그 꿈을 모두 이루었다고 말하는 사람이다. 지금은 공주에서 살면서 공주풀꽃문학관을 건립, 운영하고 있으며 풀꽃문학상과 해외풀꽃문학상을 제정해 시행하고 있고, 현재 공주문화원장과 충남문화원연합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풀꽃문학관에서, 서점에서, 도서관에서, 전국 방방곡곡 사람들을 만나러 다니는 게 요즘의 일상이다. 가깝고 조그마한, 손 뻗으면 충분히 닿을 수 있는 시인으로 기억되고 싶다.
시인의 말
살아남은 자의 기적
1부
너와 함께라면 인생도 여행이다
맑은 하늘
그리운 사막
움직이며 시 쓰기
따스한 손
너에게 보낸다
너의 이름
골목길 1
강연 출근
바람
흐린 날
추석 1
추석 2
분꽃 옆에
오아시스
고독
미리, 탄자니아
사랑의 방식
조그만 웃음
사랑
살아줘서 고맙습니다
태풍 소식
태풍 다음 날
감사
침묵
강변
맨발 1
낙엽
사랑이거든 가거라
떠나간 여름
가을 여행
주유천하
코스모스
가을볕
아이와 작별
오해
화해
모순
맨발 2
잘되었다
어제의 너
? 할 말이 너무 많아 말을 삼킨다
기도 시간
가을 안부
딸
너 보고 싶은 날
아직도 봄
봄의 사람
알지요
카보다로카
벼랑 위의 여자
새삼스레
항구
당신 앞에
가난한 소망
? 원이를 위하여
시 노래
가을 햇살 앞에
왈칵
좋아요
공터
사막행
낡은손
시 2
시인
가을날
가을 편지
가을 여행 1
가을 축제
낙엽
시 3
가을도 깊어
가을 명령
키가 큰 여자
서점에서
머리 조아려
따로국밥
사랑
서가의 책들
가을 어법
해국
모래
또 11월
약속
눈 사진
사진을 찍으며
창문을 연다
고마운 일
인도
바람이 부오
노을
조화
골목길 2
여자
가을은 쓸쓸한 나에게
그립다
에스컬레이터 위에서
지구 소식
나무 어른
촉감
어머니의 축원
하늘 구경
2부
좋다
풀꽃 1
풀꽃 2
풀꽃 3
오늘의 약속
사랑은 언제나 서툴다
섬에서
첫눈
너를 두고
혼자서
사랑에 답함
눈 위에 쓴다
행복
꽃그늘
추억
바람 부는 날
내가 사랑하는 계절
바람에게 묻는다
꽃들아 안녕
그리움
내가 좋아하는 사람
멀리서 빈다
말하고 보면 벌써
별들이 대신해주고 있었다
11월
한 사람 건너
그래도
나무 1
그런 사람으로
떠나와서
아끼지 마세요
이 가을에
너도 그러냐
세상에 나와 나는
나무에게 말을 걸다
봄
목련꽃 낙화
서로가 꽃
외롭다고 생각할 때일수록
잠들기 전 기도
능금나무 아래
앉은뱅이꽃
들국화 2
겨울행
살아갈 이유
돌맹이
가보지 못한 골목길을
지상에서의 며칠
꽃 피우는 나무
시
묘비명
3부
인생
여행
대숲 아래서
가을 서한
사랑에의 권유
비파나무
풍경
귀로
꽃
사랑은 비밀
아버지 1
대답
선물
마지막 기도
못나서 사랑했다
등불
그대 지키는 나의 등불 26
나뭇결
사랑하는 마음 내게 있어도
잠시
너에게 감사
여름의 일
눈부신 세상
별 1
동심
화내지 마세요
과수원집 옆집 1
과수원집 옆집 2
혼자서 빈손으로
가을 맑은 날
가을 산길의 명상
누워서 생각했을 때
썩은 시인
사십
응?
근황
그리움
꽃 2
문득
외출에서 돌아와
사랑
어머니 말씀의 본을 받아
마음의 주인
오늘은 우선 이렇게 사랑을 잃었다 하자
자기를 함부로 주지 말아라
들길을 걸으며
어여쁜 짐승
튼튼한 믿음
하나의 신비
눈먼 사람을 위하여
철부지 오월
장마철에 개인 날
다짐 두는 말
한 소망
네 앞에서 1
길 1
그것은 흔한 일이다
꽃 3
껍질
대화
식탁
경배의 시간
눈사람
유언시
? 아들에게 딸에게
작품 해설
너에게 기울어지다 나는 꽃이 되었네
정실비(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