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쪽 계단을 보라
2013년, 윤대녕의 두번째 소설집을 다시 만나다
2013년 8월, 문학동네가 윤대녕의 두번째 소설집 『남쪽 계단을 보라』(1995)를 새로운 모습으로 선보인다. ‘윤대녕’이라는 존재를 세상에 각인시켰던 첫번째 소설집 『은어낚시통신』과 눈부신 아름다움으로 평단과 독자를 단숨에 그리고 오랫동안 사로잡아온 세번째 소설집 『많은 별들이 한곳으로 흘러갔다』를 잇는 이 소설집에는 여섯 편의 단편소설(「배암에 물린 자국」「신라의 푸른 길」「남쪽 계단을 보라」「가족사진첩」「사막의 거리, 바다의 거리」「새무덤」)과 두 편의 중편소설(「지나가는 자의 초상」「피아노와 백합의 사막」)이 실려 있다. 좋은 작품이 그러하듯 이 여덟 편의 소설들은 시간을 뛰어넘어 그것을 읽는 이들의 가슴에 파고든다. 그러니 윤대녕과 함께 세월을 통과하며 꾸준히 그의 작품을 따라 읽어온 독자들에게는 물론이고 이제 막 그의 이름을 알게 된 독자들에게도 이 두번째 소설집은 특별할 것이다. 1995년의 서른네 살 윤대녕이 보여주는 그 먹먹하고도 황홀한 코발트빛에 몸과 마음을 맡겨보라.
사막을 향한 그리움으로 결국 사막으로
갈 수밖에 없었던 간절함 간곡함에 대하여
『남쪽 계단을 보라』에서 우리는 세월이 흘러갈수록 그 예술적 기품과 장인의 엄격함을 더해가며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이효석 문학상, 김유정문학상, 김준성문학상을 수상해온 소설가 윤대녕의 뿌리를 만나게 된다. 그 뿌리를 통해 우리는 이 소설가가 타고난 감각을 통해 그 누구보다 예민하게 인간의 실존적 문제를 포착해내고 이에 문학적으로 응전하는 한편, 방황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고독과 아름다움을 집요하게 그려왔음을 알게 된다.
특히 2013년 지금 이 순간, 『남쪽 계단을 보라』가 더욱 특별한 이유는 ‘작가의 말’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소설집에 작품이 발표되었던 시간의 흔적들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는 데에 있다. 오래 잊고 지냈던 그 아날로그 시대의 풍경 말이다. 윤대녕의 이 소설들 덕분에 우리는 그리운 이를 만나려면 그를 향해 직접 걸어갈 수밖에 없었던 그 간곡한 세월과 사막을 향한 그리움으로 결국 사막으로 걸어들어갈 수밖에 없었던 그 간절한 마음을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윤대녕 (YOON, DEA-NYUNG / 尹大寧)
저자 윤대녕은 1962년 충남 예산 출생. 단국대 불문과 졸업. 1990년 『문학사상』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은어낚시통신』『많은 별들이 한곳으로 흘러갔다』『누가 걸어간다』『제비를 기르다』『대설주의보』『도자기 박물관』, 장편소설 『옛날 영화를 보러 갔다』『추억의 아주 먼 곳』『달의 지평선』『미란』『눈의 여행자』『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 여행산문집 『그녀에게 얘기해주고 싶은 것들』, 음식기행문 『어머니의 수저』, 산문집 『이 모든 극적인 순간들』 등이 있다.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이효석문학상, 김유정문학상, 김준성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동덕여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배암에 물린 자국 _007
신라의 푸른 길 _035
남쪽 계단을 보라 _069
지나가는 자의 초상 _101
가족사진첩 _177
사막의 거리, 바다의 거리 _221
새무덤 _255
피아노와 백합의 사막 _287
해설|정혜경(문학평론가)
사막과 바다의 접경을 보았던가 _357
작가의 말 _377
개정판 작가의 말 _380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