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라
페르시아 대서사시 《쿠쉬나메》에서 ‘신라’를 뜻하는 ‘바실라’
7세기 중엽, 페르시아 대서사시에 나타난 신라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감춰졌던 페르시아와 신라의 이야기가 우리 앞에 펼쳐진다!
나라를 잃고 신라까지 쫓겨 온 페르시아 왕자
전쟁으로 얼룩진 그에게 다가온 운명의 연인 신라 공주!
그들이 들려주는 천 년 전 페르시아와 신라 이야기
페르시아의 대서사시 《쿠쉬나메》에서 신라 이야기가 발견되었다. 그 안에는 ‘신라’를 뜻하는 ‘바실라’가 등장하고, 페르시아 왕자 아비틴이 중국과 전쟁을 치르고 쿠쉬를 무찌르며, 신라 왕 태후르의 딸 프라랑 공주와 혼인하여 훗날 페르시아를 구하는 영웅 페리둔을 낳는다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를 모티브로 하여 소설 《바실라》가 탄생했다. 나라를 잃고 아랍인의 왕 쿠쉬를 피해 신라로 쫓겨 온 페르시아 왕자 아비틴. 삼국 통일 전쟁이 한참이었던 시기, 아비틴은 김유신의 둘째 아들이자 신라의 화랑 원술과 힘을 합해 삼국 통일을 이룬다. 여기에서는 실제 역사의 한 장면인 석문 전투, 나당 전쟁 등을 소설의 배경으로 삽입하여 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창작을 적절히 섞어 재미를 더했다. 한편 사랑 이야기도 빠뜨릴 수 없는데, 문무왕의 막내딸로 등장하는 은석 공주는 아비틴의 운명의 연인인 프라랑으로 그려지며 국경과 인종을 넘나든 사랑을 보여 준다.
이 책은 7세기 중엽 페르시아와 신라의 교류 관계가 어떠했는지도 놓치지 않고 보여 준다. 아비틴과 프라랑은 부부의 인연으로 사랑의 결실을 맺는데, 파란 눈을 가진 외국인이 신라공주와 혼인을 한다는 것은 우리 역사의 개방성을 보여 주는 동시에 글로벌한 신라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비틴과 프라랑이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는 문천교와 아비틴과 원술, 문무왕이 한 데 모여 연회를 펼치는 포석정 등의 역사적 장소는 역사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을 한층 자극한다. 더불어 페르시아군과 신라군이 대결을 펼치는 격구 경기, 아비틴이 음진대소(술잔을 비우고 크게 웃기)를 따라하는 모습 등은 두 나라의 문화 융합을 보여 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작가가 《쿠쉬나메》를 처음 접하고 《바실라》를 완성하기까지 대략 2년 정도의 시간이 흘렀다. 그 시간 동안 작가는 《쿠쉬나메》를 발굴하여 한국어로 번역한 이희수 교수에게 자문을 구해가며 원전을 충분히 파악한 후, 창작을 더해 작품을 완성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사랑, 전쟁, 승리의 다양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으며 신라와 페르시아의 문화가 어떻게 어우러졌고, 그들이 역사와 문화 속에 남긴 자취를 알아보는 흥미로운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 책의 줄거리
페르시아 왕자 아비틴이 당나라를 거쳐 신라로 건너온 7세기 중반은 삼국 통일 전쟁이 한참이었던 시기였다. 김유신이 전장에서 맹활약을 하던 때, 삼국은 전쟁으로 시간을 보냈다. 그런 와중 지구 반대편에서는 서아시아의 사산조 페르시아가 아랍-이슬람 세력의 공격을 받아 멸망 위기에 처해 있었다. 페르시아의 마지막 왕 야즈데게르드 3세는 침략자에 맞서 결사 항전하고 페르시아 왕자 아비틴과 일행을 중국에 피신시켜 고국을 회복할 것을 유훈으로 남기고 전사한다. 하지만 아비틴은 자신을 쫓아 중국까지 온 아랍의 쿠쉬에게 쫓겨 신라에 정착하게 된다.
낯선 곳에서 의지할 것이 없던 아비틴에게 어느 날 젊은 장수가 나타난다. 그는 바로 김유신의 둘째 아들이자 신라의 화랑 원술이었다. 아비틴은 원술과 함께 신라를 도와 삼국 통일을 이루고 중국과 전쟁을 치른다. 이 모든 것은 잃어버린 고향, 페르시아를 되찾기 위함이었다. 한편 운명의 연인 신라 공주 프라랑을 만나 국경과 인종을 뛰어넘는 열렬한 사랑 끝에 혼인을 하고, 훗날 페르시아를 구하는 영웅 페리둔을 낳는다. 그러나 평화롭던 시간도 잠시, 자신의 운명에 당당히 맞서기로 결심한 아비틴은 프라랑과 페리둔을 남겨 두고 다시 페르시아로 향하는데……. 과연 그는 빼앗긴 나라를 되찾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