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그램의 용기
1그램의 용기를 보탭니다
나는 알고 있다. 우리 모두는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힘, 해야 할 일을 할 자신감, 해서는 안 될 일을 하지 않을 분별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그러나 그걸 가로막는 건 불안과 두려움이다. (…)
이 책은 《그건, 사랑이었네》를 쓴 후부터 6년 동안의 이야기다. 지난 시간을 돌이켜보면 공부하다가 현장 갔다가 산에 갔다가, 또 공부하며 회의하다가 학생들 가르치다가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 이렇게 애쓰는 내가 마음에 들기도 하고 짠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어느 날부터 그동안의 경험과 생각들을 독자들과 나누고 싶은 마음이 들기 시작했다. (…)
써놓고 보니 《중국견문록》의 열심히 하는 모습과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의 씩씩한 모습과 《그건, 사랑이었네》의 다정한 모습이 섞여 있는 것 같아 기분이 좋다. 1장 ‘소소한 일상’에서는 자잘한 일상생활과 단상에서 건져 올린 내 생각과 삶의 원칙을 보여주려 했다. 2장 ‘단단한 생각’에서는 내가 힘들지만 재미있게 살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이며 어떻게 생각의 뿌리를 내리고 있나를 얘기했다. 3장 ‘각별한 현장’에서는 1년 중 절반을 보내는 구호 현장의 큰 그림과 세밀화, 즐거움과 괴로움을 동시에 보여주고 싶었고 4장 ‘씩씩한 발걸음’에서는 나의 꿈이 우리의 꿈이 되는 과정에 대한 생각을 담았다. (…)
나는 이 책 전체를 통해 온기를 전해주고 싶었다. 그동안 사람들에게 받은 친절과 위로, 내가 두 손으로 정성껏 전해주고 싶었던 사랑 그리고 인생의 고비에서 많은 사람들과 주고받았던 작은 용기에 대해 말해주고 싶었다. 용광로처럼 살을 태울 만큼 뜨겁고 한여름 한낮의 태양처럼 눈부시게 강렬한 책이 아니라 아침 햇살처럼 맑고 따사로운, 그래서 기분 좋은 책이 되었으면 한다.
무엇보다 가능성과 두려움이 50 대 50으로 팽팽할 때, 하고 싶은 마음과 망설이는 마음이 대등하게 줄다리기할 때, 내 책에서 딱 1그램의 용기를 얻었으면 좋겠다.
그 1그램의 용기, 기꺼이 보태드리고 싶다.
_서문에서
이 책은 작은 용기가 가져오는 엄청난 힘과
국제구호 전문가로서 우리의 세계를 확장시켜주는 이야기를 담았다
1장 ‘소소한 일상’, 2장 ‘단단한 생각’
“자, 용기를 가지고 한 발짝만!”
망설이는 마음에 보내는 ‘아침 햇살 같은’ 용기
‘용기 있는 사람’ 하면 많은 이들이 대나무처럼 곧은 성품, 될 때까지 하는 지치지 않는 노력, 절대 꺾이지 않는 의지처럼 강인한 이미지를 떠올린다. 그래서 자신은 용기가 없다고 생각하고, 용기 있는 사람은 특별한 사람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한비야는 용기란 강한 사람, 특별한 사람, 성공한 사람들만 가지고 있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고 힘주어 말한다. 사람은 누구나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힘’, ‘해야 할 일을 할 자신감’, ‘해서는 안 될 일을 하지 않을 분별력’을 가지고 있다. 도전 앞에서 두려움을 느끼고 피하고 싶어 하는 것도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이다. 두려움을 느낄 때 그 자리에서 멈추느냐,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도해보느냐의 차이는, 어느 쪽으로 1그램을 보태느냐에 달려 있다.
그 용기로 한 걸음 내디딜 때 문이 열리고, 길이 생기고,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새로운 세상이 펼쳐진다.
한편, 용기라는 단어 뒤에는 다양한 동사가 붙는다. 용기를 낸다, 용기를 준다, 용기를 얻다, 용기가 솟다, 용기가 필요하다, 용기가 생기다……. 한비야가 생각하는 용기는 일방적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살짝 ‘보태는’ 것이다.
‘용기를 보태다’라는 말에는 무엇보다 상대방을 배려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시도하고 싶은 마음이 있지만 두려움 때문에 망설이는 사람에게는 옆에서 아주 약간의 용기만 보태주어도 시도하는 쪽으로 마음이 확 기운다.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기꺼이 미움 받겠다는 용기, 나를 지키기 위해 상처받을 용기를 내겠다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한비야의 용기는 그런 냉소적이고 자기방어적인 용기와 다르다. 나와 주변 사람들을 북돋워주는 용기, 긍정과 격려와 응원을 서로 주고받는 용기, 상대방의 자존심과 감정을 지켜주고 그 사람의 가능성을 인정하면서 스스로 한 발짝 내딛게 ‘도와주는’ 용기가 한비야가 독자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용기이다.
1톤쯤 되는 부담스러운 용기가 아닌 딱 1그램의 작은 용기만으로 충분하다. 진정한 용기란 두려움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두려움을 이겨내는 상태이고, 두려움을 이겨내는 데는 1그램의 용기만 더해지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3장 ‘각별한 현장’, 4장 ‘씩씩한 발걸음’
국제구호 전문가 한비야
‘아프리카’를 통해 우리의 세계를 확장시키다
《1그램의 용기》가 여덟 권의 전작과 가장 다른 점은 여행가 한비야, NGO 활동가 한비야가 아닌 ‘국제구호 전문가’ 한비야가 들려주는 아프리카의 숨겨진 가치와 그동안 밝혀지지 않은 진실, 국제구호를 둘러싸고 전 세계가 벌이는 수많은 갈등과 다툼, 모순 등을 담고 있다는 점이다.
현장을 가장 사랑하는 그녀가, 현장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할 나이에, 현장을 뒤로하고 미국 터프츠대학교 ‘플레처 스쿨’에서 인도적 지원학을 공부한 것도 ‘인도적 지원에 쏟아붓는 그 많은 돈과 에너지는 왜 개발협력으로까지 이어지지 않는가’와 ‘어떻게 하면 두 분야를 연계할 수 있을까’를 연구하기 위함이었다.
한비야는 〈기아체험 24시간〉에 몇 만 원을 후원하고 아프리카 아이들과 1대 1 결연을 맺는 방법도 충분히 가치 있지만, 개인에게 도움을 호소하는 방법으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그녀는 현장과 UN을 오가며 일하는 동안 국제구호 뒤에 감춰진 불편한 진실을 절감하고, 아프리카에서 점점 영향력을 넓혀가는 중국의 힘을 체험하고, 아프리카를 식민 지배하던 프랑스 군대가 지금까지도 그 나라에 주둔하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수없이 지켜보았다. 그리고 이제는 가난과 질병처럼 동정심을 불러일으키는 문제뿐 아니라 아프리카의 자원을 둘러싸고 벌이는 열강들의 탐욕을 고발하고, 국제구호 활동과 자원이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바로잡는 정책을 만드는 것이 자신의 역할이자 우리 모두의 의무라는 것을 알리고 있다.
한비야가 현재 가장 관심을 쏟고 있는 ‘세계시민학교를 통한 세계시민 교육’ 역시 이러한 활동의 연장선이다. 멋진 카페에서 커피를 즐기면서도 가끔은 그 커피콩을 따야 끼니를 이을 수 있는 케냐 여자아이를 생각하도록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다. 선행을 한다는 도덕적 우월감을 심어주기 위함이 아니라 그들은 당연히 도움받을 권리가 있는 존재임을 알게 하는 것이 한비야의 목표다.
이를 위해 한비야는 올해부터 이화여대에서 박사과정을 밟는다. 논문 주제는 〈재난 대비를 중심으로 한 인도적 지원과 개발협력의 연계점〉. UN 자문위원 경력 덕분에 좀 더 쉬워진 UN 진출을 포기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아쉬움, 외국 대학과 얘기가 오가던 정규 강의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특강을 3년간 보류해야 한다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국제구호 전문가로서 현장과 정책을 잇는 데 도움이 되는 일을 하겠다는 목표를 향해 한 발 내딛기로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