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가 좋은 이유
어떤 공간에 들어가면 마냥 기분이 좋아지고,
어떤 공간에는 오래도록 머무르고 싶다
빛, 공간 나눔, 컨셉, 비움 등 다양한 공간적 특징들을
익숙한 장소를 통해 설명하는 친절한 공간 에세이
언제부터인지 좋다는 곳은 발 벗고 찾아 나선다. 몇몇 사람의 이야기가 아니다. 성수에서 약속이 있다면 ‘어니언’에는 꼭 들러야 하고, 주말에는 편한 신발을 신고 ‘피크닉’에서 오후를 만끽한다. 맛집을 찾아 우르르 몰려다니는 현상과는 조금 다르다. 예쁜 곳, 멋진 곳, 내 기분이 좋아지는 곳을 구태여 찾아다니는 사람들. 그런데, 그 공간들, 왜 좋은 걸까?
처음에는 인스타그램에 올릴 사진을 찍기 위해서였는지 모른다. 경쟁적으로 예쁜 카페를 찾아다니며 인스타에 그럴싸한 태그를 달아 업로드했다. 인스타에서 한 번 입소문이 나면 그 가게에는 발 디딜 틈 없을 정도로 인파가 몰려들었다. “거기 알아?”, “거기 가봤어?” 마치 모르면 안 될 것 같은, 안 가봤으면 ‘인싸’가 될 수 없을 것 같은 분위기가 조성됐다. 그래서 거기가 어디라고? 왜 좋다고?
좋은 것에는 분명히 이유가 있을 것이다. 어떤 공간에 들어가자마자 내가 편안함을 느꼈다면, 그 편안함을 주는 요소가 분명히 있을 텐데. 어떤 때는 높은 층고일 것이고, 어떤 때는 다락방처럼 조밀한 공간일 것이다. 공간마다 가진 특징은 천차만별로 다양해서 건축도 책처럼 읽을 수 있다면, 영화 평론가가 영화 속 숨겨진 의미를 설명해주듯이 누군가 건축을 설명해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하고 만다.
저자 : 김선아
사진 찍는 건축가.
눈에 보이고 손에 닿는 것들을 디자인합니다.
좋은 것을 나누고 싶어서 사진을 찍고, 글을 씁니다.
01 빛으로 가득찬 책의 광장, 별마당 도서관
02 시간에 새로움을 더하는, 어니언 성수 & 미아
03 컨셉의 정석, 네스트 호텔
04 시간을 내려 마시는 다방, 커피 한약방
05 요리하는 도서관, 현대카드 쿠킹 라이브러리
06 디자인과 시공산 사이로 소풍을, 피크닉
07 성수를 담은 디테일의 정수, 오르에르
08 비워서 만든 공간, 뮤지엄 산
09 푸른 컨테이너의 숲, 커먼그라운드
10 아이들이 뛰어노는 정원, 카페진정성
11 박공과 박스가 만났을 때, 퀸마마마켓
12 시간의 흔적이 새겨진 곳, 선농단
13 대학로의 붉은 배경, 아르코 예술극장·미술관
14 솟아오른 땅, 옹느세자메
15 서울이 가진 시간의 단면, 눅서울
16 시장 골목 안 공간의 내피, 오랑오랑
17 문화를 담는 그릇, 문화비축기지
18 유쾌한 브랜딩, 호텔 카푸치노
19 마당을 품은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20 서울을 잇는 또 하나의 길, 서울로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