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에 담아낸 인문학
음식으로 삶을 읽는다
“당신이 먹은 것이 무언지 말해 달라.
그러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말해 주겠다”
브리야 사바랭은 “당신이 먹은 것이 무언지 말해 달라. 그러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말해 주겠다”고 했다. 음식이 단순히 먹고 마시는 것을 넘어 한 사람, 한 가족의 역사화 문화, 개성을 함축하고 있음을 강조한 말이다. 음식을 이해하면 한 개인과 가족은 물론 그들이 속한 사회와 나라를 이해할 수 있다.
《음식에 담아낸 인문학》은 우리가 흔히 먹고 마시면서도 미처 몰랐던 음식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음식의 유래와 역사뿐만 아니라, 음식 안에 투영된 우리의 삶과 문화를 엿볼 수 있다.
‘푸드포르노’의 시대, 상식의 지평을 넓혀 줄 음식 인문학
‘푸드포르노’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지금 우리 사회는 ‘음식의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어느 때보다도 물질적 풍요로움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음식은 더 이상 허기를 채우기 위한 수단은 아니다. 다른 많은 동물들과는 달리 인간에게 섹스가 단순히 종 번식을 위한 행위만은 아닌 것과 같이, 먹는다는 것도 단순히 생명 보존을 위한 행위는 아닌 것이다. 이제 우리는 음식을 입으로, 눈으로, 냄새로 즐기게 되었다. 또 그것에서 즐거움을 얻고 문화를 배우며 한 사회의 구성원이 갖는 특징을 얻게 된다.
이 책에는 중국에서 날아온 자장면이 어떻게 대한민국 대표 대중음식이 되었는지, 복날 삼계탕으로 이열치열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영광굴비의 고향이 사실은 영광이 아니라는 사실까지… 음식에 담긴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가득 담겨 있다. 그 이야기를 읽어 내려가다 보면 음식에 우리의 삶과 문화, 애환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머리말
PART 1 한국의 맛
초당순두부 - 초희의 눈물, 강릉의 숨결
전어 - 돈 귀한 줄 모르고 먹는 생선
떡국 - 무병장수와 풍요를 꿈꾸다
수제비 - 가난의 상징? 부유층의 별미
수원갈비 - 茶山이 만든 수원성, 그리고 牛시장
굴비 - 영광엔 굴비가 없다
냉면 - 평양냉면 vs 함흥냉면
삼계탕 - 이열치열의 대명사
자장면 - 중국에서 날아온 대한민국 대표 음식
한식 - 절대 미식 한식의 재발견
PART 2 외국의 맛
크루아상 - 이슬람에서 싫어하는 빵
포테이토칩 - 소심한 복수
덴푸라 - 투명한 음식
햄버거 - 미국이 낳은 음식
에그 맥머핀 - 세계인의 아침 식사
월남쌈 - 어울림의 상징
초밥 - 달인과의 만남
루테피스크 - 노르웨이판 홍어
요거트 - 그리스 노인들의 장수 비결
스테이크 입문 - 소고기 부위별 해부
스테이크 - 드라이에이징 vs 에이징, 티본 vs 포터하우스
뷔페 - 바이킹이 남긴 유산
PART 3 사랑과 낭만의 음료
마가리타 - 어느 바텐더의 사랑
테킬라 - 멕시코의 자존심
와인 - 사랑을 찾아 떠난 아키텐의 공주
치맥 - 전지현 vs 치맥
싱글몰트 - 스코틀랜드의 자존심
소주 - 소주에 대한 오해
칵테일 - 알코올로 빚어낸 한 편의 시
술 - 술꾼 배중호와의 술 수다
커피 1 - 세례받은 음료
커피 2 - 반 고흐가 사랑한 커피
PART 4 자연이 준 선물
망고스틴 - 과일의 여왕
감자 - 땅속의 사과
고추냉이 - 특급 음식 재료
소금 - 지각변동으로 탄생한 소금의 도시
설탕 - 에탄올, 블루스, 재즈의 공통점
글루텐 - 불편한 진실
오메가 3 - 혈액순환을 돕는 지방산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