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네가 있어 마음속 꽃밭이다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너도 그렇다.’ 시 「풀꽃」으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시인 나태주의 등단 50주년 기념 산문집이다. 사소한 것, 보잘것없는 것, 낡은 것들에 던지는 시인의 무한한 관심과 사랑은 독자들로 하여금 당연하다고, 혹은 하찮다고 생각해 무심코 지나쳐 왔던 것들에 대해 새삼 되돌아보게 한다. 사랑의 반대는 증오가 아니라 무관심이라는 명제를 굳이 떠올리지 않아도 나를 둘러싼 모든 것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 감사가 나 자신을 얼마나 풍요롭고 행복하게 하는지, 시인의 일상을 따라가다 보면 스스로 발견하고 깨닫게 된다. 풀꽃이라는 시 한 편이 우연히 사랑을 받은 것이 아니라 평생 풀꽃을 그려왔던 시인의 이력과 초등교사로서의 삶을 통해 태생적으로 풀꽃 시인이 될 수밖에 없었던 필연을 엿볼 수 있어 흥미롭다.
1945년 충남 서천에서 출생하여 시초초등학교와 서천중학교를 거쳐 1963년 공주사범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한국방송통신대학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1964년부터 2007년까지 43년간 초등학교 교단에서 일했으며 정년퇴임 때 황조근정훈장을 받았다.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시인이 됐다. 1973년 첫 시집 『대숲 아래서』를 출간한 뒤, 『마음이 살짝 기운다』까지 41권의 창작시집을 출간했다. 산문집으로는 『시골 사람 시골 선생님』, 『풀꽃과 놀다』, 『사랑은 언제나 서툴다』, 『날마다 이 세상 첫날처럼』, 『꿈꾸는 시인』, 『죽기 전에 시 한 편 쓰고 싶다』, 『좋다고 하니까 나도 좋다』 등 10여 권을 출간했고, 동화집 『외톨이』(윤문영 그림), 『교장선생님과 몽당연필』(이도경 그림), 시화집 『사랑하는 마음 내게 있어도』, 『너도 그렇다』, 『선물』(윤문영 그림), 『나태주 육필시화집』 등을 출간했다.
그밖에도 김혜식 사진과 함께 사진 시집 『풀꽃 향기 한 줌』, 『비단강을 건너다』 등을 출간했고, 선시집 『추억의 묶음』, 『멀리서 빈다』, 『지금도 네가 보고 싶다』, 『별처럼 꽃처럼』, 『사랑, 거짓말』, 『풀꽃』, 『꽃을 보듯 너를 본다』 등을 출간했다. 특히 2015년에 펴낸 선시집 『꽃을 보듯 너를 본다』가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다.
그동안 받은 상으로는 흙의문학상, 충남도문화상, 현대불교문학상, 박용래문학상, 시와시학상, 편운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 고운문화상, 정지용문학상, 공초문학상, 유심작품상, 난고문학상 등이 있으며 충남문인협회 회장, 충남시인협회 회장, 공주문인협회 회장, 공주녹색연합 초대회장, 한국시인협회 심의위원장, 공주문화원장 등을 역임했다. 지금은 공주에 풀꽃문학관을 설립·운영하고 있으며 풀꽃문학상, 해외풀꽃시인상, 공주문학상 등을 제정·시상하고 있다.
1부 나처럼 살지 말고 너처럼 살아라
나처럼 살지 말고 너처럼 살아라
오늘의 건강 연습
져줄 줄 아는 사람
어떤 주례
윤동주 불패
풀꽃 그림을 보내며
링컨 바지
날개돋이
마음이 고달픈 사람들
천사는 과연 있는가
얼마입니까
양갱이 단맛
책에도 없는 이야기
나이를 먹는다는 것
꽃들에게 배운다
내게 없?던 일에 대한 감사
소중한 한 사람
행운의 항목
부서진 마음을 고치다
하룻밤 사이
수필 님에게
2부 우리는 이미 행복한 사람
지금은 참 좋을 때
내가 오늘 기쁜 이유
내일을 기대한다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폭설 속에서도 산비둘기가 우는 까닭
우리는 이미 행복한 사람
기뻐하라
50년이 너무 빠르다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
집으로 돌아오다
잘 사는 인생
몸으로 하는 기억
조각 시간
3부 풀꽃의 모양은 풀꽃에게 물어라
봄이 되면
풀꽃의 모양은 풀꽃에게 물어라
봄은 착한 거예요.
자전거를 타면서
차를 나누는 사이
아파서 봄이다
꽃은 왜 피는가
하얀 종이로 맞고 싶은 새해
일상의 발견
몽당연칠
아침 새소리
「풀꽃」 시 1
「풀꽃」 시 2
「풀꽃」 시 3
4부 우리, 함께 멀리 갑시다
귀한 사랑
살아줘서 고맙습니다.
오랜만에 정답게
눈물 나도록 부러운 일
어머니가 첫 번째로 사주신 시집
선물하는 마음
반짝 햇빛이 든 날
여름 하늘 구름
반갑고 기쁘다
끝내 포기할 수 없는 것들
오늘도 걸었다
혼자서 흘리는 눈물
아버지를 용서해드리자
길과 함께라면 인생도 여행이다
아내의 꽃밭
날마다 이 세상 첫날처럼
사람을 좋아한다는 것
우리, 함께 멀리 갑시다
자서전을 쓴다
시를 쓰려는 소년에게
늙은 여름
작가의 말